2025년 현재 어르신들이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복지 혜택 5가지를 정리했습니다. 기초연금부터 건강검진, 교통비 지원까지 한눈에 확인해 보세요.
“정부에서 이렇게 많은 혜택을 주는지 몰랐어요!” 많은 분들이 노인 복지혜택에 대해 잘 알지 못해 받을 수 있는 지원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 2025년 기준, 국가에서 제공하는 복지 정책은 더욱 다양해지고 금액도 인상되고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르신들이 꼭 챙겨야 할 복지혜택 TOP5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✅ 1. 기초연금 월 최대 40만 원 지원
2025년 기준, 단독가구 최대 월 40만 원 지급
-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% 대상
- 부부가구는 최대 **64만 원(월)**까지 지원
신청 방법: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온라인 신청
신청은 언제든 가능하지만, 신청한 달부터 지급되니 미루지 마세요!
✅ 2. 보청기 및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
청각장애인 등록 시 보청기 구입비 최대 131만 원 지원
- 5년 주기로 재지급 가능
- 의료급여 대상자는 본인부담금 없음
또한, 시각·지체장애인의 경우 지팡이, 휠체어, 점자정보기기 등도 지원
✅ 3. 노인 무상 건강검진
국가건강검진 무료 제공
- 만 66세 이상 어르신 대상
- 2년마다 암 검진, 인지기능검사(치매) 포함
- 추가로 독감 예방접종 및 폐렴 백신 무료
본인부담 없는 검진이므로, 꼭 일정 확인하고 예약하세요.
✅ 4. 대중교통 요금 할인 및 무임승차
만 65세 이상 노인 무임 교통 혜택
- 수도권 지하철, 일부 지역 버스 무료 탑승
- 지역별 교통카드 발급 시 할인폭 커짐
- 농어촌 지역의 경우, 복지 택시·셔틀버스 운영
단, 광역버스와 고속버스는 해당 안됨 — 지자체별 확인 필요
✅ 5.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
노인 일자리 참여 시 월 최대 30만 원 활동비 제공
- 공공형(환경정비, 복지시설 지원 등)
- 시장형(시니어카페, 택배 등 수익형)
- 취업알선형(경비, 관리직 등)
모집 시기: 매년 12~1월
신청: 노인일자리 지원기관 또는 복지관 문의
보너스 팁: 꼭 챙겨야 할 추가 혜택
- 에너지 바우처 지원 (여름/겨울 전기료 보조)
- 효도카드 발급(지역화폐 형태)
-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(생활지원사 배정)
- 경로당 운영비 및 급식비 지원
이 외에도 지자체별 자체 노인복지정책이 따로 존재합니다. 따라서 주민센터에 문의하거나 보조금 24를 통해 꼭 확인해 보세요.